누구와 살 것인가? 어디서 살 것인가? 어떤 라이프 스타일을 가질 것인가?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 일을 할 것인가? 를 생각하세요. 이런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이 직업이고, 그 직업을 갖기 위한 과정이 대학입니다. 배상기 박사를 소개합니다 배상기 박사는 서울대학교 대학원(교육학박사)/산업교육을 전공하였으며 현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진학지원센터 센터장이며 전 진학지원센터 진학지원관을 엮임하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시간강사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울 청원고등학교에서 교사로서 근무했었다. 진로 진학. 학부모 상담. 학생 코칭 국내 최고의 전문가이며, '나를 만나는 사람이 행복하고 더 성공할 수 있도록 돕자. Good to Great' 좌우명으로 전국의 교사, 학부모, 학생, 교육자들과 함께 의미있는 교육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최근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 또는 집필하는 분야는 어떤 것인가요? 현재는 학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 대해 집필 중입니다. <진로편>과 <관계편> 등 2권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 <진로편>은 원고 집필이 끝났습니다. 부모가 자녀를 어떻게 바라보
융합생성 아이디어로 ‘질문’ 에 강한 남자 ‘독서토론’을 즐기며 창의융합적 사고를 전달하는 강연자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창의융합’ 전문가 안녕하세요, 창의융합 생성 전문가 최근영입니다 대한민국 교육신문에서 인사드리게 되어 반갑고 감사합니다. 저는 의료기사로 일을 하며, 경영정보학을 전공, 보건학 석사로 졸업했습니다. 치과의원 기공실 근무를 시작으로 enue Dental Lab. 과 e-스페셜 Dental Lab. 대표로 치과기공소를 운영하는 기간 동안 국민구강보건에 힘쓰며 대학에서 의료 전문인 양성을 위한 교육을 담당해 왔습니다. 2020년 WEEKLY PEOPLE Top Awards 대상(기여·공헌 부문), (사)한국경제협업협회 창의융합위원장을 거쳐 현재는 세종나라 대표, 창의융합교육연구소 대표, 한국사이버진흥원 교수, 대한민국 독서토론논술대회 심사위원, EBS 고교학점제·융합캠프 강사로 활동하며 초·중고생 & 대학생 독서토론교육, 진로·진학 입시 컨설팅, 학습법, 과제탐구, 진로독서, 4차 산업혁명과 미래직업, 인
푸드 카빙은 행복이다! 예쁜것들을 보고 그것을 따라 만들다보면 어느새 기분도 좋아지고 행복하게 됩니다. 나만 행복한 것이 아니라 작품을 보는 사람, 받는 사람, 주변분들까지 행복해지게 하는 매력이 있는거 같아요. 주는 기쁨, 받는 기쁨이 큰, 푸드 카빙은 행복입니다. 푸드 카빙 명장 유은희 교수 동서울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외래교수, 삼육대학교 평생교육원 외래교수, 사) 푸드카빙외식협회 공동대표, 사) 한국조리협회 상임이사, 푸드카빙 명장 심사위원, ‘수박카빙마스터’ 저자 불가리아 소피아 국립음악원 피아노 석사, 청운대학교 호텔외식경영학과 석사, 경기대학교 외식산업경영 박사과정 주요 수상내역 2015년 한식사랑 한식위크 카빙라이브 부문 농림축산부 장관상 (대상) 2016년 WACS 코리아푸드트렌드페어 과일플레이팅,푸드카빙부문 대상2관왕 2016년 대한민국 향토식문화대전 국제탑쉐프 그랑프리 카빙부문 농촌진흥청장상 (대상) 2017년 한국음식관광박람회 식약품처장상 (대상) 2017년 서울푸드페스티발 서울시장상 (대상) 2018년 카빙협회 베스트 오브 베스트 티쳐상 2023년 대한민국소상공인&MasterChef 요리기능경진대회 한국조리기
"안녕하세요, 피아니스트 고유미입니다." 피아니스트로서 삶의 철학과 음악 철학은? 1. 삶의 철학 ‘외유내강’. 제가 제일 좋아하는 말이고, 실제로도 제 성격과 비슷합니다. 요즘 시대에 마음이 흔들릴 일이 참 많다고 생각하는데요.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나 자신을 믿고 마음을 단단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겉으로만 강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부드러운 리더십. 제가 바라는 이상향입니다. 2. 음악 철학 언제나 호기심을 가지고 공부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배움에 있어서 나이는 정말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연주를 하고 싶다면 연습을 계속 하면 되는 것이고, 티칭을 오래 하고 싶으면 교수법을 계속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음악은 관객에게 나 자신을 표현하고 학생들에게 전달해야하기에 ‘전달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화방식도 상대방 입장에서 항상 생각하려고 노력하려고 하고 있는데요. 내 음악도 객관적으로 볼 때 어떻게 들리는지 공부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피아노를 전공하게 된 계기는? 걸음마를 시작한 때부터 피아노만 보이면 무조건 쳤었다고 합니다. 엄마를 겨우 졸라
깔끔한 이미지와 따뜻한 마음의 조화가 탁월한 남자 순간에 최선을 다하는 열심과 열정의 강연자 세상의 행복을 위해서 헌신하는 행복전도사 대한민국의 행복 전도사, 최경규 박사를 만났다. 그는 현재 행복학교와 행복아카데미를 운영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전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는 국내외에서 1,000회 이상의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그의 저서 '내안의 행복을 깨워라'는 7쇄를 찍을 만큼 많은 사랑을 받았다. 최근에는 그의 저서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가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기도 하였다. 행복학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 저는 원래 국제경영학을 전공하였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제 삶에서 행복이 빠져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행복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고, 지금은 행복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제가 공부한 행복학은 이론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사람들에게 행복을 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다시 태어난다면 어떤 전공을? 이유는? 재미있는 질문이라서 잠시 생각에 잠기게 되네요, 어떤 전공이 좋을까요? 아직 한국에는 없지만 저는 '행복학'이 있다면 꼭 전문적으로 공부해보고 싶어요,
미국 뉴저지의 진정한 멘토 조유니 원장, M2M Education Consulting이 꿈을 위한 멘토링과 실질적인 교육을 책임집니다! 본인 소개 간략하게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에 계신 학부모님, 학생들 여러분, 반갑습니다. 인연이 된다면 꼭 대면하여 인사드리고 싶어요. 저는 Columbia University Fu Foundation Engineering School에서 Operations Research를 전공하고 2003년부터 학원에서 경력을 쌓아 오다가 지난 2011년 M2M Education Consulting 학원을 이곳 217 Main St. Fort Lee, NJ 07024, USA 직접 오픈하여 현재까지 최고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는 Youni Cho입니다. M2M Education Consulting을 설립 운영하게 된 계기는? 사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셨어요. 이곳 미국에서 한인으로서 현지 학생들까지 공부하는 사교육 기관을 운영하는 것이 쉽지는 않은 일이거든요. 솔직히 강사로만 일을 해도 넉넉한 보수에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데 굳이 기관을 설립해서 경영의 고된 길을 가냐고 하시거든요. 그런데 저는 제
'영어’가 ‘세상과 소통하는 문‘이 되고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기회를 갖게 되길 소망한다. 본인 소개를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교육신문 독자여러분! 저는 이수정입니다. '모니카쌤'이라고 더 알려져 있답니다. 그래서 '이수정 모니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렇게 교육신문 소개 기회로 뵙게되어 너무 반갑고감사합니다. 저는 학부에서 영어와 불어를 복수전공했고 석사를 아동언어코칭으로 전공했습니다. YBM대표 강사를 거쳐서 현재는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아동보육학과 겸임교수, 고려사이버대학교 외래교수, 모니카영어교육연구소 대표이며 경기과학기술대학교(2016년~현재), 고려사이버대학교 아동영어학과(2023년~현재), 고려사이버대학교 미래교육원 아동테솔 중 파닉스 교육(2019년~현재)을 진행 중입니다. 모니카영어교육연구소에서는 어린이영어전문가 양성과정(영어독서지도사, 파닉스전문가, 유아영어지도사) 과정을 운영중입니다. 학교이외의 강의도 많으신 것 같은데요? 네, 맞습니다. 제가 기억하기도 힘들 정도인데요. 강원도교육청/부산교육청/경기도 고양시 초등영어교사직무연수, 전국영어교사 워크숍 초빙강의(웅진
행인내행 무불성사(行忍耐行 無不成事) “매사에 참고 견디면서 행하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을 것이다” 고영철 교수님을 간단히 먼저 소개합니다. 1955년 전남 여수에서 출생하여 교육과정론으로 교육학박사를 취득하고 카잔연방대학교 한국학 교수, 석사과정 한국어교육 주임교수, 한국학연구소장을 역임하고 있으면서 러시아에 한국어와 한국역사, 문화를 알리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1990년-1994년)교육학 외래교수(강사): 세종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등 (1994년-2015년)교수 (모스크바 소재): 러시아국립사회대학교, 국립경영대학교 등 교수 [겸임] 모스크바한글학교 설립자 겸 교장, CIS한글학교협의회 회장, 모스크바한글학교협의회 회장 역임 (2015. 9월- )교수: 카잔연방대학교 교수, 카잔연방대 한국학연구소 소장 러시아에서 활동하게 된 계기는? 1990년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 된 이후, 한국에 유학을 온 대학원생으로부터 CIS지역 고려인의 과거와 현재의 생활의 어려움과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상황을 인지하여, 1994년 6월 현지 답사를 위해 모스크바로 가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후 러시아권 15개 국
역량평가체계 개발 및 활용 디지털 교육 및 에듀테크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는 김양수 박사 간략한 자기 소개를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교육신문 독자여러분, 저는 김양수라고 합니다. 교수학습공학을 전공(박사)하고 경희대학교 미래인재센터 연구총괄(겸임교수)이며 한국취업진로학회 상임이사직을 수행중입니다. 역량 평가체계 개발 및 활용과 디지털 교육 및 에듀테크에 남다른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활발한 활동을 해 나가고 있습니다. 최근 가장 관심있는 분야는? 디지털 혁신과 미래 교육 분야입니다. 디지털 혁신에 따른 미래 교육에서의 온라인 학습 플랫폼, 가상 현실(VR) 및 증강 현실(AR)을 통한 몰입형 학습 경험, 인공지능(AI)에 의한 개인화된 학습 경로 제공 등에 관하여 특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출간한 저서 소개를 해주세요. '에잇 블록 협상 모델 '(애드앤미디어 출판사) 인데요, 성공적인 비즈니스 협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수학적 사고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8단계의 협상 프로세스 이해와 적용을 위한 협상교육 전문서적입니다. 리더십 현장 강의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20, 30대 꼰대들(권위주의적 젊은 사원들)을 위한 협상 강
남한산성에서 뻗은 금암산 아래 13만평의 부지에 위치한 동성학교 - 자연보다 더 아름다운 마음과 실력을 갖춘 인재들이 꿈을 키우는 요람! 학교 재단을 소개해 주세요. 재단법인 동성회(東醒會) 동녘에 삶의 깨달음을 주고자 하는 뜻을 품고 1960. 3월에 당시 경기도 광주군 서부면 광암리에 부지를 마련하고 그해 12월 13일에 전쟁 고아 33명을 모아 보육원을 개원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어려운 조국의 국난극복에 동참키 위함이었다. 뿐만 아니라 무너진 경제개발을 위해 이공계 대학생들 중에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는 일도 시작하였다. 설립자이신 만성 오정섭 선생은 국졸의 학력으로 선만 강재 사원 시절 경성사범대학을 졸업한 이재현 여사와 결혼하고 동방 강건 사장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강재 창호 회사를 경영하면서 사회 사업에 투신하셨다. 선생은 당시 나라가 어려울 때 선잔국이 되려면 이공계 인재가 필요함을 느껴 43세 때인 1959년 재단법인 동성회를 설립하고 경인지역의 이공계 대학생중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여 1978년까지 등록금 전액과 기타 모든 비용을 장학금으로 주었다, 배출된 장학생수는 총인원 292명 , 연인원 856명으로 이들은 각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