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6.0℃맑음
  • 강릉 28.0℃구름많음
  • 서울 24.5℃구름많음
  • 대전 25.8℃맑음
  • 대구 26.1℃맑음
  • 울산 22.5℃맑음
  • 광주 25.0℃맑음
  • 부산 21.0℃구름조금
  • 고창 25.3℃맑음
  • 제주 18.9℃구름조금
  • 강화 22.5℃구름조금
  • 보은 25.4℃맑음
  • 금산 26.8℃맑음
  • 강진군 22.8℃맑음
  • 경주시 28.3℃맑음
  • 거제 21.0℃맑음
기상청 제공

2025.04.30 (수)

유은지 작가 에세이

흔들려도, 유연하게 돌아오는 삶


 


“아우.. 머리야...”

 

지끈거리는 한쪽 두통과 어깨 결림. 왼쪽으로 잘 기울어지지 않는 뻐근한 목 상태를 원망하며, 피로하다고 중얼거린다. 최근 들어, 다시 시작된 왼쪽 귀에서 들리는 딸깍거림은 현재 나의 상태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중임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유난히 바람이 심하게 불던 날. 아직 시들지 않은 강아지풀이 바람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고 있다. 저 가느다란 기둥을 가지고 꺾이지 않고 흔들리는 모습이 대견하게 느껴졌다.

 

‘나도 저렇게 유연하게 흔들리고 싶은데.’

 

강아지풀을 보며, 불현듯 든 생각은 부러움이었다. 이런저런 일들로 상황을 자유롭게 바라볼 수 없는 요즘. 부러지지 말고, 흔들리는 것도 괜찮겠다 싶었다. 강아지풀이 가냘프게 보이기보다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것은 유연함 때문일지도 모른다. 흔들려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모습에, 꺾이는 것보다 나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넘어져도 다시 돌아오는 힘. 우리는 그것을 회복탄력성이라고 한다. 부정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원래의 안정된 상태를 되찾는 것을 말하는 회복탄력성은 나에게. 그리고 여러 다양한 모양의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필요한 개념인 것 같다.

 

최근에 가장 위안이 되었던 말은 성공을 하는 것보다 실패를 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빈번한 일이라는 말이었다. 큰 성공을 하고 싶다 생각한 적은 없지만, 부정적인 감정들이 강하게 찾아오는 요즈음. 소진된 상태를 변화하고 싶다는 마음이 큰 것 같다.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해, 좋은 방법 중 하나는 긍정적인 스토리텔링이라고 한다. 어떠한 상황에서 긍정성을 더욱 강하게 발휘하는 능력. 그것은 생각의 습관과 연관되어 있는 것 같다.

 

어떠한 상황에서‘다른 사람은 이 정도나 하는데, 왜 나는 이것밖에 안될까.’하는 생각보다,‘나도 이 정도는 해낼 수 있는 사람이었어.’하고 전환할 수 있는 것. 그것은 부정보다 긍정적 표현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무조건적인 긍정이 옳지는 않겠지만, 부정보다는 긍정적인 방향을 고려하는 것. 긍정적 스토리텔링이 지금 나에게 필요할지도 모른다.

 

회복탄력성은 성공에 대한 강한 집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음에서 나온다. – 회복탄력성 김주환 -

 

 

몇 해 전 만났던 김주환 교수의 책. 회복탄력성에서 긍정성을 강화하면 자기 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고 했다. 긍정성을 습관화하면 누구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고, 긍정성을 습관화한다는 것은 뇌를 긍정적인 뇌로 바꿔간다는 뜻이라고 한다.

 

아마도 나는 실수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인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과감하게, 새로움을 추구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실수하는 것이 걱정되어 어떤 상황이든 조심스럽게 접근했을 것이다. 그러기에 좀 더 예민해졌을 것이고, 부담되었을 것이다. 일어난 상황을 유연하게 바라볼 힘도 없지 않았을까.

 

이제는 실수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은 덜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으로, 두려움도 마주해 보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강아지풀이 바람결에 꺾이지 않고 흔들리듯.

나도 어려움을 마주했을 때 목부터 뻣뻣해지기보다 조금은 유연하게 마주하고 싶다.


유은지 작가는

10년이상 개인의 커리어와 마음의 성장을돕는 상담사로 일하며,결국 글쓰기가 삶의 열쇠임을 알게된 뒤로 글을 쓰고있습니다. 자기다움을 추구하며 삶을 소소한 일상을 공유합니다.

 

[저서] 마음에 길을 묻다. 치유글약방. 성장글쓰기

 

 

 

[대한민국교육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