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6.0℃맑음
  • 강릉 28.0℃구름많음
  • 서울 24.5℃구름많음
  • 대전 25.8℃맑음
  • 대구 26.1℃맑음
  • 울산 22.5℃맑음
  • 광주 25.0℃맑음
  • 부산 21.0℃구름조금
  • 고창 25.3℃맑음
  • 제주 18.9℃구름조금
  • 강화 22.5℃구름조금
  • 보은 25.4℃맑음
  • 금산 26.8℃맑음
  • 강진군 22.8℃맑음
  • 경주시 28.3℃맑음
  • 거제 21.0℃맑음
기상청 제공

2025.04.30 (수)

리키마루 사치코의 행복씨앗

행복하게 살기 위해 습관화 노하우를 활용하자


 


우리는 왜 행복하게 살고 싶은가?

 

갑자기 그런 의문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우리는 좋아하는 일을 할 때, 아름다운 것을 볼 때, 즐거운 시간을 보낼 때에 자기가 행복하다고 느낀다. 즉, 기분이 좋다는 감정이 행복감을 만든다. 또 기분이 좋다고 느끼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자유도 느낀다. 이런 해방감, 즉, 이론적인 판단이 아니라 여러 제약을 생각하지 않는 몰입 상태가 그곳에 있다.

따라서 더 행복하게 살려고 한다면 기분 좋게 보내는 시간과 몰입 시간을 보다 많이 만들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행복을 만들 수 있을까?

행복을 느낀다는 감각적인 상황을 스스로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느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불가능하지 않다.

 

뇌는 행복감을 감지하면 세로토닌, 옥시토신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한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자신이 행복하다고 먼저 결정할 때도 이런 호르몬이 나온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행복감을 느끼는 좋은 일을 기다릴 필요는 없고, 먼저 자신이 행복하다고 결정만 하면 된다.

 

19세기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행복에 관한 대표적인 근대 철학자 세 명중 한 명인 알랭(Alain)은 행복에는 반드시 행동이 동반된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행복은 다만 기분이 좋다는 수동적인 행복 뿐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행복하게 살 방법을 찾는 자세도 중요하다고 한다. 이 행복을 찾는 자세는 바로 스스로 행복을 만드는 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그 행복의 단초를 어디서 찾으면 될까?

 

이상하게 느낄지도 모르지만 자기계발을 할 때 활용한 방법이 이곳에서도 유용하다. 어떤 일을 습관화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이 말이다.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낄 상황을 모아 살펴보면 일정한 추세가 반드시 있다. 어떤 일을 할 때, 그것을 좋아한다고 느끼는지, 또한 어떤 시간을 보낼 때와 어떤 것을 볼 때 좋다고 느끼는지,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일단 그런 공통점을 파악한다면, 그 상황이 일상생활 안에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도록 조정하면 된다.

 

자기계발을 할 때, 원하는 행동을 습관화할 필요가 있다. 습관화란 뇌 안에 이런 정보에 대해 반응하기 위해 새로운 신경반응망을 만드는 것이다. 똑같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반응망도 만들면 된다.

 

한국 사람들은 늘 높은 목표를 세워 실천하려고 하는, 세계적으로 보아도 열심히 사는 국민이라고 한다.

 

자기계발에 대한 관심도 높다. 반면에 너무나 노력해야 한다는 마음이 크기 때문인지 큰 행복이 아니면 좀처럼 행복감을 느끼기 어렵다고도 한다.

그 이유는, 자기계발을 계속해 힘든 시기를 지난 뒤에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 아닐까?

 

여러분은 자기계발 방법을 배우며 이미 많은 노하우를 갖고 있다. 그 노하우를 행복 찾기에 활용한다면 어떨까? 반드시 더 많은 행복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습관화된 결과, 자기계발 측면에서 많은 성장을 했다는 경험을 얻은 분들도 많은 것 같다. 그런 좋은 사이클을 알고 있다면 행복을 원하며 얻기 위한 습관도 생각보다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리키마루 사치코 교수는

일본 주오(中央)대학 법학부 준교수

외국어를 좋아하는 일본인 교수, 세계 7개국 언어 가능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중국어, 한국어)

 

최경규작가 저서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 일본어로 번역(あなたのせいではありません)(2024년),

“세종 한글로 세상을 바꾸다" 라는 책을 공동번역(2022년).

김미경학장 “오늘부터 다시 스무 살입니다" (2021년)및 최경규작가 “마음에 길을 묻다" (2023년)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출연

 

[대한민국교육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