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 100년을 책임질 교육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제4회 전북교육포럼'이 9일 군산대학교 아카데미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도덕성 붕괴, 학력 저하, 교권 추락, 전북교육,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전북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오준영, 이하 전북교총), 전북교사노동조합, 좋은교육시민연대, 전국학력신장협의회, 전북학생의원총연합회, 전북교육클린센터가 공동 주최했다. 김희수 전북교육포럼 준비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전북교육이 직면한 위기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진정한 교육개혁을 위한 해법을 찾아야 할 시점”이라며 “오늘 논의된 내용들이 전북교육 발전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정동영 통일부장관(전주병 국회의원), 강경숙 국회의원,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 지사, 노병섭 새길을 여는 참교육포럼 대표, 이경한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황호진 前전북도교육청 부교육감이 축사를 했다. 안민석(前이재명 대선후보 직속 미래교육자치위원회 위원장)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주제발표에서는 세 가지 핵심 주제가 다뤄졌다. 오준영 전북교총 회장은 ‘표절, 교육자의 정직과 신뢰성 훼손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오 회
[대한민국교육신문] 교육부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사전 등급시험(레벨테스트) 시행 등 사교육 조장 행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도교육청과 함께 전국 유아 대상 영어학원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 전수 조사 결과 ' 이번 전수조사는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전국 유아 대상 영어학원 728개를 대상으로 실시됐고, 그 결과 260개 학원 384건의 법령 위반사항을 적발하여, 교습정지(14건), 과태료 부과(70건, 총 40백만 원), 벌점·시정명령(248건), 행정지도(101건) 등 총 433건을 처분했다. 특히, 이번 전수조사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유치원 명칭 부당 사용 및 사전 등급시험(레벨테스트)을 통한 교습생 선발 행위에 대해 중점을 두어 점검했다. 총 15개의 학원에서 유치원 명칭을 부당 사용한 사실이 적발되어 관련 법령에 따른 과태료 등 조치했고, 사전 등급시험(레벨테스트)을 시행하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은 총 23개로 조사*되어 상담 또는 추첨으로 선발 방식을 변경하도록 행정지도 했다. ' 향후 정책 추진 방향 ' 향후, 교육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학원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대한민국교육신문] 율동초등학교는 9월 10일 고양 율동초 영어실에서 경기도교육감과 함께하는 WHY UP 공유학교 체험 수업을 열었다. 이번 체험수업에서는 6학년 학생들이 경기도 교육감과 함께 지역 특화 영어공유학교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또한, 체험 수업 후 지역 내 학부모들이 참석하여 지역협력 미래교육에 대해 경기도교육감과 함께 소통하는 간담회 자리를 마련했다. 고양 율동초는 올해 8월부터,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기도교육청 WHY UP 영어공유학교를 전국 최초로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영어공유학교 우수 수업 모델로 손꼽혀‘경기도교육감 초청 수업의 날’을 마련했다. 초청 수업은 학생들이 경기도교육감(임태희)과 함께 서로 자신의 생활 습관에 대해 영어로 묻고 답하고 데이터를 수집해 하이러닝으로 그래프를 만들고 발표하며 영어로 수학을 이해하는 몰입(Immersion)수업으로 영어로 다른 과목을 배우며 영어 의사소통능력과 수학적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진행됐다. 율동초에서 실시하는 영어공유학교는 지역 내 원어민과 율동초 영어전담교사가 함께 32차시동안 영어 교과 학습을 집중 지도하는 100% 영어로 말하고 듣는 의사소통
[대한민국교육신문]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5일 전주 신라스테이호텔 회의실에서 IB 준비학교 담당자 협의회를 개최했다. IB 준비학교는 교사들이 IB 교육의 철학과 수업을 자율적으로 탐구·연구하는 학교로, 교원의 수업·평가 역량을 높이고 수업혁신 문화를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날 협의회는 IB 준비학교 10개교 업무담당자들을 대상으로 IB 기반 수업·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교 현장에서의 운영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학교별 운영 현황 공유 △IB 철학 기반의 수업·평가 혁신 사례 탐색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 논의 등이었다. 특히 전북교육청은 향후 IB 준비학교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IB 공식 워크숍 및 연수 제공 △IB 월드스쿨 수업 참관 지원, △IB 코디네이터 등 전문 강사 지원 등 다각적인 지원을 할 예정이다. 오선화 미래교육과장은 “이번 협의회는 열정 가득한 선생님들이 함께 모여 수업과 평가 혁신의 길을 모색한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학교 현장의 열정과 노력이 전북형 미래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교육신문 김은비 기자 keb@keupress.co
[대한민국교육신문] 도내 직업계고 학생들이 호주와 일본에서 현장실습형 글로벌 인턴십에 참여한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도내 6개 학교 사업단에서 학생 58명과 인솔교사 12명 등 총 70명이 ‘2025 직업계고 현장실습형 글로벌 인턴십’을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참가 학교는 남원제일고, 덕암정보고, 전주생명과학고, 한국경마축산고, 전북유니텍고, 전주공업고 등 6개 학교 사업단이다. 남원제일고, 덕암정보고, 전주생명과학고 사업단은 지난 5일 호주 시드니로 출발해 오는 10월 18일까지 연수에 참여한다. 한국경마축산고 사업단은 호주 브리즈번에서 오는 11월 10일부터 12월 21일까지, 전북유니텍고 사업단은 10월 25일부터 11월 21일까지 일본 오사카에서, 전주공업고 사업단은 10월 20일부터 11월 28일까지 일본 후쿠오카에서 연수를 진행한다. 현장실습은 원예조경, 전기전자, 기계가공, 조리제빵, 애견훈련, 헤어미용, 마필관리 등 7개 직무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호주 시드니 현장실습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TAPE NSW 시드니 기술교육기관에서 언어·직무교육을 받은 뒤 Honeysuckle Garden, Holiday Paramata, Courtyard
[대한민국교육신문] 대구시교육청은 9월 11일 오전 11시, 대한상공회의소(서울)에서 ‘아마존 웹 서비스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 윤정원)’와 인공지능 시대 필요한 미래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클라우드 컴퓨팅,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교육 기회를 제공해 학생들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교원의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전문성을 강화하여 혁신적인 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맞춤형 SW-AI 교육 체계화 및 교육 콘텐츠 공동 제작, ▲디지털 교육 인프라 및 콘텐츠 접근성 향상을 위한 플랫폼 제공, ▲학생 및 교원 대상 첨단 인공지능 기술 교육 기회 제공, ▲대구인공지능교육센터 AI교육 심화 프로그램 제공 등의 공동 추진이다. 협약에 따라, 대구시교육청은 ▲SW-AI 교육과정 기반 아마존 웹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도입, ▲클라우드 기반 교육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 격차 해소 활용 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학생 동아리 및 해커톤 등 교육 현장 내 프로그램 정착 방안 마련 등의 역할을 맡는다. 아마존 웹 서비스 코리아는 ▲AI를 활용한 교원 교육 콘텐츠
[대한민국교육신문] 서울특별시교육청은 9월 13일 오후 1시 30분, 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에서'서울혁신교육 FORWARD 2025'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서울혁신교육의 실천 성과를 돌아보고, 교육 대전환 시기에 놓치지 말아야 할 학교 교육의 본질에 대해 교육공동체가 함께 토론하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모두를 위한 서울교육, 함께 톺아보는 혁신교육, 미래를 여는 협력교육을 주제로 총 3부 15개 세션이 열리는 이번 포럼에는 교원, 교육전문직, 연구자, 학생, 학부모 등 약 700여 명이 참여해 현장의 실천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토론하다. 총 3부로 진행되는 행사의 주요 내용은 1부 ‘모두를 위한 서울교육’에서는 어려운 교육 여건에서도 희망의 교육을 일구어가는 교사들을 응원하는 밴드 공연이 진행될 예정이며, 이어서‘교사, 협력으로 만들어가는 미래혁신교육’을 주제로 한 양성관(건국대학교) 교수의 기조강연과‘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협력교육’을 주제로 정근식 교육감과의 대화가 진행된다. 2부 ‘함께 톺아보는 혁신교육’은 교육과정·수업·평가 혁신, 학생주도성 기반 교실과 학교 변화, 학생 돌봄, 디지털 전환과 수업 혁신, 학부모-교사 협력 등 8개 세션
[대한민국교육신문]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9월 9일(프랑스 현지 시각 09:00)에 공개하는 「OECD 교육지표 2025」의 주요 결과를 분석·발표한다. OECD는 「OECD 교육지표」를 통해 교육 전반에 관한 국제 비교 자료를 매년 제공하여 회원국들이 교육정책 수립 및 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OECD 교육지표 2025」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교육에 투자된 재정적 자원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 2022년 기준 2022년 우리나라 초등~고등교육 전 단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5.6%로 2021년보다 0.4%p 증가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4.7%로 2021년 대비 0.5%p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초·중등교육 단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4.0%로 2021년 대비 0.6%p 증가하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한편, 고등교육 단계 국내총생산(
심민섭 장성군의회 의장은 장성군 교육의 가장 큰 과제에 대해 농촌 지역의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교육 기회의 불균형이라고 밝혔다. 그는 도시와의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맞춤형 교육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의회가 교육 관련 정책을 심의·의결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기준에 대해서는 해당 정책이 군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 여부라고 설명했다. 또한 단기적인 효과보다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교육으로 이어지는지도 살펴보고 있으며, 단순한 예산 투입이 아닌 그 사업의 효과성과 군민의 이해와 공감대를 이끌어낼 수 있는가도 중요한 판단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장성군 학생들을 위해 최근 의회가 지원한 대표적인 교육 사업으로는 대학생 등록금 지원사업을 꼽았다. 장성군 민선 8기 및 제9대 장성군의회 출범 이후 추진 중인 이 사업은 지역 대학생 가정의 학비 부담을 덜어주고 학생들이 학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는 이는 단순한 경제적 지원을 넘어 장성군의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 장성군 교육 경쟁력을 높이는 투자라고 설명했다. 학교 환경 개선이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대한민국교육신문]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전국 유·초·중등 및 고등교육기관 등의 기본사항을 조사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초·중등교육 (학교 수) 전국 유·초·중등학교 수는 20,374개교로 전년 20,480개교 대비 106개교 감소했다. 유치원은 8,141개원으로 153개원 감소한 반면, 초등학교는 6,192개교로 9개교 증가, 중학교는 3,292개교로 20개교 증가, 고등학교는 2,387개교로 7개교 증가, 기타학교는 362개교로 11개교 증가했다. (학생 수) 전체 유·초·중등 학생 수는 5,551,250명으로 전년 5,684,745명대비 133,495명(2.3%↓) 감소했다. 유치원은 481,525명으로 17,079명(3.4%↓) 감소, 초등학교는 2,345,488명으로 149,517명(6.0%↓) 감소한 반면, 중학교는 1,370,356명으로 37,506명(2.8%↑) 증가, 고등학교는 1,299,466명으로 4,859명(0.4%↓) 감소, 기타학교는 54,415명으로 454명(0.8%↑) 증가했다. (학급당 학생 수) 학급당 학생 수는 유치원 15.6명, 초등학교 19.3명, 중학교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