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디지털 격차 해소” AI 기반 온·오프라인 영어도서관 15개교 패키지 추진… 교육경비보조금·디지털선도학교 매칭, 거버넌스 MOU로 시행 2025년 10월 15일 대전광역시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대전교총)가 대한민국교육신문과 손잡고 독서·디지털 학습 격차 해소를 목표로 한 AI 기반 온·오프라인 통합 영어도서관 패키지를 본격 추진한다. 이번 모델은 취약계층을 우선 고려해 대전 관내 15개교(구별 3교, 공공도서관 포함)를 선정, 오프라인 영어도서관(원서 800권·도서장·라벨 등 자율독서 세트)과 온라인 AI 영어도서관을 결합해 학교 현장에 일괄 구축·운영하는 것이 핵심이다. 제휴 구조상 오프라인 구축은 언론이 후원하고, 온라인 AI 서비스는 교육경비보조금 또는 디지털선도학교 지정과 연계해 매칭하는 방식이다. 김도진 회장 “찾아가는 교총… 교사는 가르침에 집중하도록”올해 1월 1일 취임한 김도진 제13대 대전교총 회장은 취임 직후부터 교권 보호·현장 중심 소통을 기조로 내세웠다. 그는 지역 인터뷰에서 “현장에 답이 있다”는 원칙 아래 ‘찾아가는 교총’을 선언하며, 악성 민원·교권 침해 대응과 수업·연구시간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이번 영어도서관 패
[김석환의원 이력] 1. 대전중구의회 의원 2. 제20대 이은권국회의원 비서관 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4.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자문위원 대전 5개 구 가운데 유일하게 구립 공공도서관이 없는 중구. 김석환 위원장은 이를 “시설의 유무를 넘어 교육·문화 격차와 직결된 과제”로 규정하며, 문창공공도서관의 조속한 실행과 유천동 공공도서관 부지 확보, 그리고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도서관은 건물이 아니라 사람과 운영 품질로 완성된다”며 재정·인력의 지속가능한 해법을 제시했다. Q1. 대전 중구에는 아직 구립 공공도서관이 없는 상황인데, 의원님께서 생각하시는 가장 시급한 도서관 정책 과제는 무엇입니까? A. “대전 5개 구 가운데 유일하게 중구에는 아직 구립 공공도서관이 없습니다. 이는 단순한 시설 부재를 넘어 지역의 교육·문화 격차와 직결된 중요한 문제입니다. 먼저 현재 진행중인 문창공공도서관 건립을 실질적 실행 단계로 전환입니다. 사전기획 단계에 있는 만큼 중앙투자심사 승인과 예산 확보를 신속히 추진하고, 체계적인 로드맵 마련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유천동 소규모주택정비사업 구역 내 공공도서관 부지를